구분 | 비탈면친환경녹화공법 | 일반공법 |
장·단점 | 다양한 재료초본, 목분류 초화류의 사용이 가능 삼나무 뿌리를 주재료로 사용하므로써 환경오염 발생이 없다 토양이 쇄굴되지 않으며 자연표토로 통화된다. 주변산림과의 조화되는 친환경 조성 토양이 고결화 되지 않는다. |
종자사용이 제한되어 있어 양잔디 위주로 사용이 가능 산업폐기물을 주재료로 사용하므로써 환경오염 발생 토양이 쇄굴되고 산업폐기물을 사용하므로 자연표토로 이루어지지 못한다. 양잔디 위주로 주변지반과의 부조화 토양이 고결화 되어 종자사용이 제한 |
환경성 | 영구식생가능 주변산림과의 조화되는 친환경 조성 |
3년이상 경과되면 식생고사흔적 발생 양잔디 위주로 주변지반과의 부조화 |
비탈면 안정 | 목본식생에 의한 산림조성으로 장기적인 안정화 표층붕괴 슬라이딩 억제 |
초본류에 의한 지표면 보호 |
사용식물 | 자생초본, 목분식물 가능 한국잔디, 재래야생화 양잔디, 야생화류 |
외국초본 : 양잔디 종자사용 저한 초본류 |
표면상태 | 균열이 많을수록, 균열이 클수록 종자선택폭이 커진다.
굴곡이 심할 때 적절한 퇴적층이 형성되어 종자의 발아 및 생장의 기반이 된다. 균열이 많을 때 |
굴곡이 거의없거나 균열이 심하지 않는 경우 시공 |
적용토질 | 보통토사~굴곡 및 균열이 있는 경암 | 리핑암~발파암 |